자기계발/Immersive Content
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3일차(소수점 데이터, 리터럴 접미사, 문자열, bool)

강보자 2021. 9. 18. 23:37

[누구나 가능한 VR/AR 콘텐츠제작 올인원 패키지 Online]

더보기

Ch 03. 데이터란 무엇일까 - 03. 기본 데이터1 - 2(part 2)

Ch 03. 데이터란 무엇일까 - 03. 기본 데이터1 - 3

02. 기본 데이터1 - 2(part 2)


009_데이터 최대 최소값

(아래사진)MinValue와 MaxValue, 위 예제들처럼 대입값을 미리 말해 줄 필요 없음

(3번째 줄은 틀렸음 -> 왜지? int.MinValue같이 대입값이 정해지지 않은건 저렇게 코드쓰면 안되나)

Long형 데이터는 9223372036854775808 ~ 9223372036854775807 사이의 많은 정보를 가질 수 있음.

010_데이터 형태의 오류

-캐스트 연산오류: 최대값을 벗어난 값을 부를 때 발생함

 

011_2진수 리터럴 접두사0b(0B), 16진수 리터럴 접두사0x(0X)

접두사 없이 쓸 경우, 10진수로 읽힘

*2진수: 0과 1 오직 두가지로 표현,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

*16진수: 숫자 10개와 알파벳(a, b, c, d, e, f) 6개로 표현

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숫자는 10진수임

012_소수점 데이터형의 기초

02. 기본 데이터1 - 3


013_소수점 데이터형의 리터럴 접미사 f(F), m(M)

float, double, decimal 형 데이터 설명

 

float, double, decimal 출력결과

014_문자와 문자열, 아스키코드

helo는 의도적 오타인 것이다.

(위 사진) 두 가지 방식으로 출력 코드 써봄. 띄어쓰기 어떻게 하는지 아직 모름.

ㅇ아스키코드: 알파벳을 사용하는 문자코드

(위 사진: 왜  num이 65로 출력되는지 모르겠다)

015_문자열 제어

+ : 두 문자열 더하기 

== : 같은지 비교

Replace : 특정 문자를 변경

ToUpper/ ToLower :  모두 대문자로/모두 소문자로

 

 

017_bool 

-논리 데이터 형태(참과 거짓)

-기본값은 false

-조건문에 자주 사용

 

배우면 바뀐다 패스트캠퍼스>>> https://bit.ly/37BpXiC

 
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
fastcampus.co.kr
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