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자기계발/Immersive Content
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6일차(유니티 스크립트 생성, 인스턴스화)

더보기

[누구나 가능한 VR/AR 콘텐츠제작 올인원 패키지 Online]

Ch 02. Unity3D 코딩 - 01. 스크립트의 생성

Ch 02. Unity3D 코딩 - 02. 스크립트의 기본 구조 인스턴스화

Ch 02. Unity3D 코딩 - 03. 유니티에서의 클래스

강의에서 배운 기술을 어디에 활용해 볼까 계속 기회를 보고 있는데,

IT+관광 콘텐츠를 만드는 리얼월드의 공모전을 찾았다.

콘텐츠 공모전 뿐만아니고 콘텐츠 제작자 양성과정도 운영하는듯하니,

자주 확인해보면 나한테 맞는 공모전이 있을 것 같다.

[리얼월드 공모전 페이지] https://uniquegoodcompany.notion.site/854f2c142a4f4dbbba850917e1c23348

지역 콘텐츠 공모전


01. 스크립트의 생성

ㅇ스크립트 이름: 스크립트 생성시, 이름을 먼저 확정해야 한다. 스크립트 기본 구조에 스크립트 이름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, 이후 이름을 바꾸면 스크립트 내용도 바꿔줘야 하는 귀찮은 일이 생김.

 

ㅇ기본코드: 18줄의 코드를 미리 작성해서 제공함. (지우면 안됨)

ㅇ(1-3줄) Global Name Space : Class라고 부르는 기본 툴의 모음

-움직여라 / 터치를 몇번했는지 인식해라 등등의 역할을 하는 툴

 

ㅇ(5줄) 스크립트 파일 이름 일치하는지 확인 

-MonoBehaviour =  상속

 

ㅇ나머지 영역이 코드 작성 영역

-괄호 여닫는 기호 주의

 

02. 스크립트의 기본 구조  인스턴스화

<이벤트 함수: 어떤 역할을 하는 기능>

ㅇvoid Start = // Start 함수는 프레임 시작 전에 (한 번) 호출된다.

ㅇvoid Update = // Update 함수는 프레임 마다 한 번씩 호출된다.

*추후에, 원하는 기능을 가진 함수를 만들게 될 것임 o(^▽^)o

Start 함수와 Update 함수의 차이점

ㅇ인스턴스화 : 스크립트를 오브젝트에 연결하는 작업

-플레이해서 코드 확인함

 

03. 유니티에서의 클래스

Debug: 문제해결에 활용할 수 있는 툴 모음집 (Class containing methods to ease debugging while developing a game.)

Log: 유니티 콘솔창에 메시지를 띄우는 함수(Logs a message to the Unity Console.)

 

 

 

배우면 바뀐다 패스트캠퍼스>>> https://bit.ly/37BpXiC

 
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
fastcampus.co.kr
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